[에코매거진] 지구를 지켜라…이제는 필환경 시대
■ 허정림 / 환경공학 박사
[앵커]
환경에 대한 관심이 날로 뜨거워지고 있죠. 그동안 '친환경'이 더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면, '필환경'은 앞으로 인류가 살아남기 위해 반드시 실천해야 하는 소비행태인데요. 그렇다면 우리가 지향해야 할 필환경 시대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요?
오늘 에코 매거진에서는 허정림 환경공학 박사와 함께 '2019년 필환경 시대'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이 2018년의 마지막 날인데요. 아까 과학 본색에서도 짚어 봤지만, 환경문제가 참 많았던 것 같아요. 다시 한 번 짚어볼까요?
[인터뷰]
네 그렇습니다. 2018년도는 여러 가지 환경 이슈가 많이 발생했는데요. 미세먼지 폭염, 플라스틱 그리고 라돈까지 휩쓸고 간 한 해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앵커]
그야말로 공포와 대란이 가득했던 한 해지 않았나 싶어요.
[인터뷰]
네, 그렇습니다. 2018년은 초미세먼지 문제로 가장 심각한 해로 기록될 전망인데요.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전국에 초미세먼지 주의보는 총 316회가 발령됐습니다. 정부가 초미세먼지를 공식 측정하기 시작한 2015년 이래 최다 수준이죠. 이어 지난 4월에는 재활용 쓰레기 수거 논란으로 불거진 플라스틱 처리 문제가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며 정부는 지난 8월부터 커피전문점 매장 내 일회용 컵 사용제한 정책을 시행하기에 이르렀습니다.
또한, 지난 5월에는 유명 업체 '대진 침대'에서 대량의 라돈이 검출됐는데요. 이어 마스크, 베개, 생리대 등 다양한 생활제품에서 라돈이 검출되면서 소비자들의 공포는 더욱 커졌습니다.
[앵커]
짙은 미세먼지나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올해 알게 된 것 같은데, 그래서 그런지 2019년 소비 트렌드 키워드로 지목된 게 바로 필환경이라고요.
[인터뷰]
그렇습니다. 이제 환경보호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뜻인데요. 친환경이 더욱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면, 필환경은 앞으로 인류가 살아남기 위해 반드시 실천해야 하는 소비 행태입니다. 좋고 싫음의 기호가 아닌 죽고 사는 문제이기 때문이죠. 아까도 플라스틱 문제를 말씀드렸지만, 매년 전 세계가 생산하는 플라스틱양은 3억3천만 톤, 2050년까지 폐기되는 플라스틱양은 약 120억 톤으로 추산되는데요. 이렇게 버려지는 플라스틱은 미세플라스틱으로 바다를 떠다니다가 먹이사슬을 통해 인간의 체내로 흡수되고 있습니다. 환경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로 지구 곳곳에 기상재해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고요.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라도 필환경은 반드시 실천해야 합니다.
[앵커]
필환경, 반드시 환경을 지켜야 한다는 게 새해 키워드로 지정됐다고 하니깐 이렇게라도 변화가 시작되는 것 같아서 다행인데요. 그러면 필환경을 위해서 세계 곳곳에서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인터뷰]
제로 웨이스트 (Zero-Waste)운동이 퍼지고 있는데요. 제로 웨이스트 운동이란 일상 속에서 쓰레기 배출을 최소화하고, 어쩔 수 없는 것은 재활용하자는 것입니다. 실제로 미국의 환경운동가 '로렌 싱어'는 쓰레기를 줄이고 줄여 4년간 배출한 쓰레기양이 작은 유리병에 넣을 수 있는 정도라고 하는데요. 쓰레기 없는 삶을 살기 위해 로렌 싱어가 실천한 것은, 포장된 식자재를 사지 않고, 치약이나 로션처럼 스스로 필요한 것들을 만들어 쓰며, 중고로 쇼핑하고, 최소화한 삶을 추구한 것이었죠.
[앵커]
이렇게 살면 불편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지만, 경각심을 일깨울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제로 웨이스트 운동의 하나로 물건 구매 전부터 재활용을 목표로 한다는 뜻의 '프리사이클링'이 주목받고 있다고요?
[인터뷰]
네 맞습니다. 프리사이클링 (Pre-cycling)이란, '미리'라는 뜻의 접두사 'pre'와 재활용을 의미하는 'recycling'을 합친 합성어인데요. 프리사이클링의 시작은 불필요한 포장 쓰레기를 줄이는 일입니다. 포장재의 약 70%는 폐기물이 돼 자원 낭비와 환경오염의 주범이 됩니다. 그 첫 주자는 독일 베를린의 식료품점인 '오리지날 언페어팍트'입니다. 이곳에서는 포장재를 찾아볼 수 없는데요. 그래서 이곳을 찾아오는 사람들은 제품을 담아 갈 용기를 미리 준비해 와야 하고요. 용기의 무게를 잰 뒤 원한 제품을 필요한 양만 담아서 사면 됩니다. 매장에는 곡물, 향신료, 커피 원두 등 농산물은 물론이고 비누나 샴푸, 세재 같은 각종 생활용품이 진열되어 있습니다. 모두 일회용 비닐 등 포장이 없는 제품이죠. 그래서 포장지를 쓰지 않자 오히려 가격이 절감됐고, 먹을 만큼만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서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많다고 합니다.
[앵커]
저희가 마트만 가도 물건이 일회용 포장지에 싸여있거나 그게 없더라도 쇼핑백에 담아서 나오잖아요. 이런 프리사이클링 문화가 한국에도 번지면 좋겠는데 비슷한 가게가 있다고요?
[인터뷰]
네, 성수동에 위치한 '더 피커'도 포장 없는 슈퍼마켓입니다. 이곳에서는 80% 이상 친환경으로 재배된 100여 가지의 과일, 채소 및 견과류나 파스타면 등을 커다란 상자나 투명 용기에 담아 진열하는데요. 소비자는 직접 가져온 용기나 매장에서 판매하는 유리병, 면 보자기 그릇에 물건을 담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앵커]
가보면 재밌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필환경 시대에 맞춰 패션도 점차 변화되고 있다고 들었어요. 지난번에는 패스트 패션에 대한 얘기를 해봤는데 패스트 패션에서 어떤 패션으로 변화가 일어나고 있나요?
[인터뷰]
네, 지난번에도 말씀드렸듯이 최근 10년간 트렌드를 즉각 반영해 빠르게 제작하고 유통하는 패스트 패션이 폭발적으로 성장했으나,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커졌는데요. 이와 같은 상황 속에 컨셔스 패션이 등장했습니다. '의식 있는' 이라는 뜻의 컨셔스와 패션의 합성어로 소재 선정에서부터 제조공정까지 친환경적이고 윤리적인 과정에서 생산된 의류나 그런 의류를 소비하고자 하는 트렌드를 뜻하는 말입니다.
[앵커]
의식 있는 패션이라고 해서 컨셔스 패션이라고 말씀해주셨는데 구체적인 예를 들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인터뷰]
네, 스포츠 브랜드 아디다스는 해변에 버려진 플라스틱을 소재로 사용한 운동화를 출시하고 있는데요. 앞으로 의류와 신발을 생산할 때 석유가 원재료인 버진 플라스틱을 아예 사용하지 않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고요. SPA 상품인 H&M도 패스트 패션이 환경오염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친환경, 재활용, 유기농 등의 지속 가능한 소재만을 활용해 만든 '컨셔스 익스클루시브 컬렉션'이라는 패션 라인을 2012년부터 선보이고 있습니다.
[앵커]
앞서는 포장을 아예 없애는 운동을 얘기했었는데 필환경 시대에 맞아서 식음료업계에서도 에코 패키지를 제품에 적용하는 필환경 트렌드에 동참하고 있다고 들었어요.
[인터뷰]
맞습니다. 돌(DOLE)은 '180mL 망고, 파인애플 주스' 패키지에 국제산림관리협의회에서 인증받은 친환경 SIG 콤비 블록 무균 팩을 적용했고요. 이 친환경 SIG 콤비 블록 무균 팩은 최대 75%가 목재에서 얻은 펄프 섬유로 구성돼 탄소 배출량이 낮은 포장재입니다. 오리온은 2014년부터 포장재 규격을 축소하고 잉크 사용량을 줄이는 '착한 포장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여 개 제품의 포장재 규격을 축소하고 내용물을 늘리며 자발적으로 환경 및 소비자 권익 보호에 나서고 있죠.
[앵커]
환경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기업 사례를 말씀해주셨는데 그러면 우리는 소비자로서 필환경을 위해서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까요?
[인터뷰]
네 작은 소비문화, 나눔의 실천 문화가 필요할 것 같고요. 불필요한 소비는 하지 않고 재활용, 재사용을 실천해나가는 것인데요. 작게는 나부터 쓰레기를 줄이고 에너지도 절약하는 친환경 생활을 몸소 실천해 나가면 어느새 필환경적인 사회로 바뀌어 있지 않을까요?
[앵커]
요즘 생활 속에서 환경문제에 대한 경각심 등의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2019년에는 필환경 꼭 실천하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허정림 환경공학 박사와 함께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오늘도 고생 많으셨습니다. 고맙습니다.
- Copyright ⓒ YTN Science,
YTN사이언스 원문 보러가기
[에코매거진] 지구를 지켜라…이제는 필환경 시대
■ 허정림 / 환경공학 박사
[앵커]
환경에 대한 관심이 날로 뜨거워지고 있죠. 그동안 '친환경'이 더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면, '필환경'은 앞으로 인류가 살아남기 위해 반드시 실천해야 하는 소비행태인데요. 그렇다면 우리가 지향해야 할 필환경 시대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요?
오늘 에코 매거진에서는 허정림 환경공학 박사와 함께 '2019년 필환경 시대'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이 2018년의 마지막 날인데요. 아까 과학 본색에서도 짚어 봤지만, 환경문제가 참 많았던 것 같아요. 다시 한 번 짚어볼까요?
[인터뷰]
네 그렇습니다. 2018년도는 여러 가지 환경 이슈가 많이 발생했는데요. 미세먼지 폭염, 플라스틱 그리고 라돈까지 휩쓸고 간 한 해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앵커]
그야말로 공포와 대란이 가득했던 한 해지 않았나 싶어요.
[인터뷰]
네, 그렇습니다. 2018년은 초미세먼지 문제로 가장 심각한 해로 기록될 전망인데요.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전국에 초미세먼지 주의보는 총 316회가 발령됐습니다. 정부가 초미세먼지를 공식 측정하기 시작한 2015년 이래 최다 수준이죠. 이어 지난 4월에는 재활용 쓰레기 수거 논란으로 불거진 플라스틱 처리 문제가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며 정부는 지난 8월부터 커피전문점 매장 내 일회용 컵 사용제한 정책을 시행하기에 이르렀습니다.
또한, 지난 5월에는 유명 업체 '대진 침대'에서 대량의 라돈이 검출됐는데요. 이어 마스크, 베개, 생리대 등 다양한 생활제품에서 라돈이 검출되면서 소비자들의 공포는 더욱 커졌습니다.
[앵커]
짙은 미세먼지나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올해 알게 된 것 같은데, 그래서 그런지 2019년 소비 트렌드 키워드로 지목된 게 바로 필환경이라고요.
[인터뷰]
그렇습니다. 이제 환경보호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뜻인데요. 친환경이 더욱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면, 필환경은 앞으로 인류가 살아남기 위해 반드시 실천해야 하는 소비 행태입니다. 좋고 싫음의 기호가 아닌 죽고 사는 문제이기 때문이죠. 아까도 플라스틱 문제를 말씀드렸지만, 매년 전 세계가 생산하는 플라스틱양은 3억3천만 톤, 2050년까지 폐기되는 플라스틱양은 약 120억 톤으로 추산되는데요. 이렇게 버려지는 플라스틱은 미세플라스틱으로 바다를 떠다니다가 먹이사슬을 통해 인간의 체내로 흡수되고 있습니다. 환경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로 지구 곳곳에 기상재해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고요.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라도 필환경은 반드시 실천해야 합니다.
[앵커]
필환경, 반드시 환경을 지켜야 한다는 게 새해 키워드로 지정됐다고 하니깐 이렇게라도 변화가 시작되는 것 같아서 다행인데요. 그러면 필환경을 위해서 세계 곳곳에서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인터뷰]
제로 웨이스트 (Zero-Waste)운동이 퍼지고 있는데요. 제로 웨이스트 운동이란 일상 속에서 쓰레기 배출을 최소화하고, 어쩔 수 없는 것은 재활용하자는 것입니다. 실제로 미국의 환경운동가 '로렌 싱어'는 쓰레기를 줄이고 줄여 4년간 배출한 쓰레기양이 작은 유리병에 넣을 수 있는 정도라고 하는데요. 쓰레기 없는 삶을 살기 위해 로렌 싱어가 실천한 것은, 포장된 식자재를 사지 않고, 치약이나 로션처럼 스스로 필요한 것들을 만들어 쓰며, 중고로 쇼핑하고, 최소화한 삶을 추구한 것이었죠.
[앵커]
이렇게 살면 불편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지만, 경각심을 일깨울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제로 웨이스트 운동의 하나로 물건 구매 전부터 재활용을 목표로 한다는 뜻의 '프리사이클링'이 주목받고 있다고요?
[인터뷰]
네 맞습니다. 프리사이클링 (Pre-cycling)이란, '미리'라는 뜻의 접두사 'pre'와 재활용을 의미하는 'recycling'을 합친 합성어인데요. 프리사이클링의 시작은 불필요한 포장 쓰레기를 줄이는 일입니다. 포장재의 약 70%는 폐기물이 돼 자원 낭비와 환경오염의 주범이 됩니다. 그 첫 주자는 독일 베를린의 식료품점인 '오리지날 언페어팍트'입니다. 이곳에서는 포장재를 찾아볼 수 없는데요. 그래서 이곳을 찾아오는 사람들은 제품을 담아 갈 용기를 미리 준비해 와야 하고요. 용기의 무게를 잰 뒤 원한 제품을 필요한 양만 담아서 사면 됩니다. 매장에는 곡물, 향신료, 커피 원두 등 농산물은 물론이고 비누나 샴푸, 세재 같은 각종 생활용품이 진열되어 있습니다. 모두 일회용 비닐 등 포장이 없는 제품이죠. 그래서 포장지를 쓰지 않자 오히려 가격이 절감됐고, 먹을 만큼만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서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많다고 합니다.
[앵커]
저희가 마트만 가도 물건이 일회용 포장지에 싸여있거나 그게 없더라도 쇼핑백에 담아서 나오잖아요. 이런 프리사이클링 문화가 한국에도 번지면 좋겠는데 비슷한 가게가 있다고요?
[인터뷰]
네, 성수동에 위치한 '더 피커'도 포장 없는 슈퍼마켓입니다. 이곳에서는 80% 이상 친환경으로 재배된 100여 가지의 과일, 채소 및 견과류나 파스타면 등을 커다란 상자나 투명 용기에 담아 진열하는데요. 소비자는 직접 가져온 용기나 매장에서 판매하는 유리병, 면 보자기 그릇에 물건을 담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앵커]
가보면 재밌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필환경 시대에 맞춰 패션도 점차 변화되고 있다고 들었어요. 지난번에는 패스트 패션에 대한 얘기를 해봤는데 패스트 패션에서 어떤 패션으로 변화가 일어나고 있나요?
[인터뷰]
네, 지난번에도 말씀드렸듯이 최근 10년간 트렌드를 즉각 반영해 빠르게 제작하고 유통하는 패스트 패션이 폭발적으로 성장했으나,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커졌는데요. 이와 같은 상황 속에 컨셔스 패션이 등장했습니다. '의식 있는' 이라는 뜻의 컨셔스와 패션의 합성어로 소재 선정에서부터 제조공정까지 친환경적이고 윤리적인 과정에서 생산된 의류나 그런 의류를 소비하고자 하는 트렌드를 뜻하는 말입니다.
[앵커]
의식 있는 패션이라고 해서 컨셔스 패션이라고 말씀해주셨는데 구체적인 예를 들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인터뷰]
네, 스포츠 브랜드 아디다스는 해변에 버려진 플라스틱을 소재로 사용한 운동화를 출시하고 있는데요. 앞으로 의류와 신발을 생산할 때 석유가 원재료인 버진 플라스틱을 아예 사용하지 않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고요. SPA 상품인 H&M도 패스트 패션이 환경오염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친환경, 재활용, 유기농 등의 지속 가능한 소재만을 활용해 만든 '컨셔스 익스클루시브 컬렉션'이라는 패션 라인을 2012년부터 선보이고 있습니다.
[앵커]
앞서는 포장을 아예 없애는 운동을 얘기했었는데 필환경 시대에 맞아서 식음료업계에서도 에코 패키지를 제품에 적용하는 필환경 트렌드에 동참하고 있다고 들었어요.
[인터뷰]
맞습니다. 돌(DOLE)은 '180mL 망고, 파인애플 주스' 패키지에 국제산림관리협의회에서 인증받은 친환경 SIG 콤비 블록 무균 팩을 적용했고요. 이 친환경 SIG 콤비 블록 무균 팩은 최대 75%가 목재에서 얻은 펄프 섬유로 구성돼 탄소 배출량이 낮은 포장재입니다. 오리온은 2014년부터 포장재 규격을 축소하고 잉크 사용량을 줄이는 '착한 포장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여 개 제품의 포장재 규격을 축소하고 내용물을 늘리며 자발적으로 환경 및 소비자 권익 보호에 나서고 있죠.
[앵커]
환경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기업 사례를 말씀해주셨는데 그러면 우리는 소비자로서 필환경을 위해서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까요?
[인터뷰]
네 작은 소비문화, 나눔의 실천 문화가 필요할 것 같고요. 불필요한 소비는 하지 않고 재활용, 재사용을 실천해나가는 것인데요. 작게는 나부터 쓰레기를 줄이고 에너지도 절약하는 친환경 생활을 몸소 실천해 나가면 어느새 필환경적인 사회로 바뀌어 있지 않을까요?
[앵커]
요즘 생활 속에서 환경문제에 대한 경각심 등의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2019년에는 필환경 꼭 실천하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허정림 환경공학 박사와 함께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오늘도 고생 많으셨습니다. 고맙습니다.
- Copyright ⓒ YTN Science,
YTN사이언스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