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플라스틱 제품들은 대부분 정말 없어서는 안될 정도로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과연 한 잔의 물을 마시는 데 빨대가 정말 필요할까요? 정말 필요한 것만 소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플라스틱에 관한 것은 더욱 더 그렇죠. 일반적으로 폐기되는 플라스틱 상품들 대부분은 다른 소재로 대체 가능한 것들입니다. 어떤 것을 구매하기 전에 플라스틱을 소비하지 않고서도 같은 기능을 하는 다른 소재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지는 않은지 스스로에게 되물어 보세요!
Refuse : 거절하기
“플라스틱 거절하기”
식당이나 카페에서 음료를 주문할 때 종업원에게 빨대는 필요 없다고 요청할 수 있습니다. 만약 빨대가 필요한 상황이라면, 금속(스테인레스)나 나무, 종이 소재로 된 빨대를 구입해 가지고 다니세요. 한걸음 더 나아가 레스토랑에 플라스틱 빨대를 제공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혹은 손님들이 요청했을 때만 빨대를 제공하라고 요청할 수 있습니다.
비닐봉지는 플라스틱 오염의 가장 큰 요인 중 하나입니다. 대형마트나 식료품점에서 비닐봉지를 거절하는 것은 재사용 가능한 장바구니를 챙기는 것으로 쉽게 실천 할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포장 없는 쇼핑을 위해 약간의 시간을 더 투자해 보세요. 그리고 플라스틱으로 과대포장 된 물건은 보이콧을 선언할 수 있습니다.
의류 쇼핑을 할 때는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터 같은 합성소재를 피해 쇼핑하세요.
Reuse : 재사용
“일상에서 재사용할 수 있는 방법”
비닐봉지 대신 재사용 가능한 장바구니 가지고 다니기.
재사용 가능한 워터 보틀이나 텀블러 들고 다니기.
오래된 옷, 장난감, 가구, 전자제품 등 버리기로 마음먹은 물건들을 내다 버리는 대신에 아름다운 가게에 기부하거나 세컨핸즈 스토어(중고가게)에 되팔기.
플라스틱 물건 대신에 도자기, 유리, 금속 등의 소재인 물건을 사용하기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대신 재사용 가능한 천 기저귀, 면생리대 사용을 고려하기
Recycle : 재활용
“제대로 재활용 하기”
재활용은 환경적, 경제적으로 도움이 됩니다. 우리 지구의 자원 고갈율을 낮춰주고, 자원의 가공과정에서 발생되는 산업 폐기물을 줄여주고, 폐기물이 되어 수 만년 동안 자연에 유해한 이물질로 남아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플라스틱 용기 재활용률은 겨우 14%에 불과하고, 특히 일회용 플라스틱 컵은 95% 이상이 재활용이 안되어 소각장이나 매립 된다고 해요. 그렇다면 어떻게 분리수거를 해야 잘 재활용 될 수 있을까요?
분리배출 방법 이미지 클릭!
Remove : 없애기
플라스틱 오염을 막기 위해서 다섯 단계 중 마지막 단계까지 오셨는데요, 불행히도 우리가 직면한 현실은 이미 어마어마한 양의 플라스틱들이 지구의 생태계를 파괴하고 잠식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이 상황을 나아지게끔 돕기 위해서는 이 플라스틱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내가 살고 있는 지역사회 안에 있는 숲, 강, 바다에 버려지거나 흘러 들어온 오염물질들을 지역사회와 함께 청소하고 가꿔주세요.
자연으로부터 플라스틱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활동하는 비영리 단체들을 지지하고 후원해 주세요.
* 본 게시물은 Earth Day Network에서 발간한 Plastic Pollution Primer and Action Toolkit을 참고해 재구성한 컨텐츠 입니다.
Reduce : 줄이기
“필요한 것만 소비하세요.”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플라스틱 제품들은 대부분 정말 없어서는 안될 정도로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과연 한 잔의 물을 마시는 데 빨대가 정말 필요할까요? 정말 필요한 것만 소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플라스틱에 관한 것은 더욱 더 그렇죠. 일반적으로 폐기되는 플라스틱 상품들 대부분은 다른 소재로 대체 가능한 것들입니다. 어떤 것을 구매하기 전에 플라스틱을 소비하지 않고서도 같은 기능을 하는 다른 소재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지는 않은지 스스로에게 되물어 보세요!
Refuse : 거절하기
“플라스틱 거절하기”
Reuse : 재사용
“일상에서 재사용할 수 있는 방법”
Recycle : 재활용
“제대로 재활용 하기”
재활용은 환경적, 경제적으로 도움이 됩니다. 우리 지구의 자원 고갈율을 낮춰주고, 자원의 가공과정에서 발생되는 산업 폐기물을 줄여주고, 폐기물이 되어 수 만년 동안 자연에 유해한 이물질로 남아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플라스틱 용기 재활용률은 겨우 14%에 불과하고, 특히 일회용 플라스틱 컵은 95% 이상이 재활용이 안되어 소각장이나 매립 된다고 해요. 그렇다면 어떻게 분리수거를 해야 잘 재활용 될 수 있을까요?
분리배출 방법 이미지 클릭!
Remove : 없애기
플라스틱 오염을 막기 위해서 다섯 단계 중 마지막 단계까지 오셨는데요, 불행히도 우리가 직면한 현실은 이미 어마어마한 양의 플라스틱들이 지구의 생태계를 파괴하고 잠식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이 상황을 나아지게끔 돕기 위해서는 이 플라스틱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 본 게시물은 Earth Day Network에서 발간한 Plastic Pollution Primer and Action Toolkit을 참고해 재구성한 컨텐츠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