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제로웨이스트 오프라인 플랫폼에서는 소비자들이 구매 단계에서부터 쓰레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원천 차단하는 작업들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로웨이스트 플랫폼을 중심으로 추구하는 최종적인 역할은 바로 건강한 소비문화의 회복입니다.
쓰레기 자체에 집중하기보다는 쓰레기가 발생하는 사회, 문화적인 부분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점들에 회복이라는 전환을 계획하는 작업들을 저희가 수행하는 역할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좀 더 자세한 사항으로는,
건강하게 생산된 식재료들도 소분 포장 없이 벌크로 진열하여 소비자들이 직접 준비한 장바구니나 보관용기에 원하는 만큼 담아갈 수 있으며, 플라스틱 없는 대안 리빙제품들 또한 법적으로 의무화된 표기를 위한 포장 등의 최소한의 포장 외에는 날 것 그대로의 제품들이 진열/ 판매 하고 있으며,
이러한 판매 현장에 머물러 있지 않고, 제품 자체가 생산단계에서 얼마나 폐기물이나 탄소발생량을 줄였는지의 사항을 통해 생산자와 공장을 선택하고 여의치 않은 경우 직접 생산하기도 합니다. 더불어 유통하는 과정에서도 최대한 가까운 거리에서 포장에 대한 제로웨이스트적 방법론을 가지고 있는 업체와 거래하거나 그러한 방법을 강구하여 유통을 진행합니다.
이러한 ‘포장’쓰레기의 차원에서 제로웨이스트와 더불어 오랜 사용기간 사용과 수리가 가능한 제품 등을 선정함으로써 ‘사용’과정을 확장하여 불필요한 자원소모를 줄일 수 있는 가치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매장차원에서 판매되는 제품을 올바르고 오래 쓸 수 있는 클래스를 운영하기도하고, 법안으로 인해 취급할 수 없는 제품군에 대해서는 직접 만들어 쓸 수 있는 자급자족 클래스도 기획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저희 더 피커의 운영방법론, 생산자/유통/폐기 풀 등을 통해 정부 관련부처와 녹색소비 관련한 협업이나 자문 등이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업들과의 협업, 컨설팅, 사내교육 등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자본주의 시장에서의 제품의 전 생애주기를 관찰하고 전환해보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제로웨이스트 오프라인 플랫폼에서는 소비자들이 구매 단계에서부터 쓰레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원천 차단하는 작업들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로웨이스트 플랫폼을 중심으로 추구하는 최종적인 역할은 바로 건강한 소비문화의 회복입니다.
쓰레기 자체에 집중하기보다는 쓰레기가 발생하는 사회, 문화적인 부분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점들에 회복이라는 전환을 계획하는 작업들을 저희가 수행하는 역할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좀 더 자세한 사항으로는,
건강하게 생산된 식재료들도 소분 포장 없이 벌크로 진열하여 소비자들이 직접 준비한 장바구니나 보관용기에 원하는 만큼 담아갈 수 있으며, 플라스틱 없는 대안 리빙제품들 또한 법적으로 의무화된 표기를 위한 포장 등의 최소한의 포장 외에는 날 것 그대로의 제품들이 진열/ 판매 하고 있으며,
이러한 판매 현장에 머물러 있지 않고, 제품 자체가 생산단계에서 얼마나 폐기물이나 탄소발생량을 줄였는지의 사항을 통해 생산자와 공장을 선택하고 여의치 않은 경우 직접 생산하기도 합니다. 더불어 유통하는 과정에서도 최대한 가까운 거리에서 포장에 대한 제로웨이스트적 방법론을 가지고 있는 업체와 거래하거나 그러한 방법을 강구하여 유통을 진행합니다.
이러한 ‘포장’쓰레기의 차원에서 제로웨이스트와 더불어 오랜 사용기간 사용과 수리가 가능한 제품 등을 선정함으로써 ‘사용’과정을 확장하여 불필요한 자원소모를 줄일 수 있는 가치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매장차원에서 판매되는 제품을 올바르고 오래 쓸 수 있는 클래스를 운영하기도하고, 법안으로 인해 취급할 수 없는 제품군에 대해서는 직접 만들어 쓸 수 있는 자급자족 클래스도 기획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저희 더 피커의 운영방법론, 생산자/유통/폐기 풀 등을 통해 정부 관련부처와 녹색소비 관련한 협업이나 자문 등이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업들과의 협업, 컨설팅, 사내교육 등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자본주의 시장에서의 제품의 전 생애주기를 관찰하고 전환해보고 있습니다.